주식 초보자에서 실전 투자자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가 있습니다. 바로 시장 전체를 추종하는 ETF에서 **섹터 ETF**, 그리고 **개별 종목 투자**로 넘어가는 과정이죠. 김어준의 주식 아가방 10강은 바로 이 중요한 브릿지 구간을 다뤘습니다.
이날 방송에서는 최서영 PD가 ETF 투자로 11.16% 수익률을 기록한 사례를 바탕으로, **섹터 ETF 선택 방법과 개별 종목 추출법**, 그리고 **투자 일지 작성법**까지 초보자에게 꼭 필요한 실전 주식 하는 법을 전했습니다.
✅ ETF에서 섹터 ETF로, 그리고 개별 종목으로
초기 투자에서는 시장 전체를 사는 ETF가 안전한 선택입니다. 그러나 점차 실력을 키우고,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정 산업군에 집중한 **섹터 ETF**로 관심을 확장해야 합니다.
최서영 PD는 코스닥 대표 ETF인 코덱스 코스닥 150과 함께 타이거 코스닥 150 IT를 직접 선택해 매수했습니다. 특히 IT 업종에 집중된 ETF를 선택한 것은, **개별 종목 분석으로 넘어가는 브릿지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였습니다.
🍎 과일바구니 이론: ETF를 이해하는 방법
박시동 평론가는 ETF를 ‘과일바구니’에 비유했습니다.
- 코스닥 150 ETF는 시장 전체를 담은 바구니
- IT ETF는 IT 업종에 속한 종목들만 담은 바구니
- ETF마다 들어 있는 종목 비율이 다르고, 수익률도 다르다
예를 들어, 어떤 IT ETF는 ‘사과(예: 카카오)’의 비중이 높고, 다른 ETF는 ‘수박(예: 리노공업)’이 많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과일들(종목)의 수익률 차이에 따라 바구니 전체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결국, 다양한 섹터 ETF를 비교 분석하면서 **효자 종목**을 찾아내고, 그 종목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개별 종목으로 가는 전략적 진입 방법**이라는 겁니다. 이것이 바로 현실적인 주식 하는 법의 핵심입니다.
📓 투자 일지를 써라 – 실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습관
이광수 대표는 “성공도 실패도 반드시 기록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단순히 수익률만 체크할 것이 아니라, 왜 매수했고 왜 매도했는지를 **정리해두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투자 일지 작성법
- 왜 이 종목을 샀는가? (매수한 이유)
- 얼마에 팔 것인가? (손절매 금액 10% 이상)
- 오른/내린 이유는 무엇인가? (주가 상승, 하락 이유)
- 왜 팔았는가? (매도한 이유)
초보자는 정확한 분석이 어려울 수 있지만, **억지로라도 이유를 적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날씨, 기분, 기사, 경제 뉴스 등 어떤 이유든 괜찮습니다. 계속 쓰다 보면 상관관계에서 인과관계로 분석력이 발전하게 됩니다.
🎯 주식 공부는 결국 '관심'에서 시작된다
최서영 PD는 “배당을 받으려는 마음에서 시작한 주식이었지만, 공부를 하게 되면서 뉴스나 용어에 더 관심이 생겼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주식 공부가 이론이 아닌 **관심의 확장**이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 다음 주 숙제는?
- IT ETF 안에 있는 효자 종목을 비교 분석하기
- 투자 일지를 작성해 보기
- 주가 상승/하락 이유를 스스로 분석해 보기
이제 ETF의 성과만 볼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들어 있는 **진짜 알짜 종목을 발굴하고**, 그 종목이 왜 효자였는지를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 주식 시장, 지금도 늦지 않았다
방송 후반에는 이재명 대통령 이후 주식 시장이 얼마나 달라졌는지에 대한 언급도 있었습니다. 코스피는 2,300에서 출발해 이제는 3,500선을 바라보는 중입니다. 정부 정책의 방향, 외국인 투자자 유입, 정책 수혜 업종 등 다양한 요소들이 상승을 이끄는 배경입니다.
주식 아가방은 초보 투자자도 따라올 수 있는 실전 중심의 주식 하는 법을 알려주는 교육 콘텐츠입니다. ETF에서 시작해 섹터 ETF, 개별 종목까지 단계를 나누고, 감정이 아닌 원칙과 기록으로 실력을 쌓는 방식은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