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한민국 정부가 강조하는 '생산적 금융' 전환의 핵심은 주식 시장의 정상화입니다. 단순한 활성화가 아니라, 아직 정상에 도달하지 못한 시장을 올바른 궤도로 이끌어야 한다는 방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런 배경 속에서 주식 투자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고, 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김어준의 주식 아가방 9강에서는 ETF, 배당주, 투자 금액 비율, 공부 방법까지 초보 투자자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 진솔하게 다뤄졌습니다.
ETF 투자의 시작: 초보자가 선택한 ETF, 수익률 6.77%
주식 투자에 갓 입문한 최서영 PD는 ETF 투자로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매주 일정한 금액으로 ETF를 사들이며, 수익률 6.77%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투자 원칙을 지킨 결과였습니다.
ETF 투자 핵심 원칙
- 떨어질 때 사기
- 일주일에 한 번 정기적으로 매수
- 성급하게 팔지 않기
- 손실에 대비한 투자 금액 설정 (10% 손실 감수 가능 금액 이내)
종목 개수는 몇 개가 적절할까?
이광수 전문가는 “많은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것은 잘못된 접근”이라며, 초보자일수록 3종목 정도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야구로 치면, 타석에 자주 들어간다고 안타가 나오는 것이 아니듯 종목을 많이 산다고 수익이 오르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현실적인 접근이 바로 주식 아가방이 말하는 올바른 주식 하는 법의 기본입니다.
월급의 몇 퍼센트를 투자해야 할까?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부분 중 하나는 "얼마나 투자해야 하는가?"입니다. 방송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투자금 설정 공식
- 전체 자산 중 10%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 금액을 기준으로 역산
- 예: “10만 원 날려도 괜찮다” → 100만 원까지 투자 가능
- 주식:적금:보험 = 4:4:2 포트폴리오도 제안
코스피 vs 코스닥, 어디에 투자해야 하나?
지금까지는 코스피 ETF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코스닥 ETF에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입니다.
코스닥 ETF 추천 이유
- 상대적으로 저평가
- 정부 정책 수혜 가능성
- 중소형 성장주 위주의 지수
그리고 한 가지 팁! 주가가 오를 때는 팔지 말고, 떨어질 때 파는 것이 원칙. 특히 10% 이상 하락할 때 매도를 고려하라는 조언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원칙적인 접근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만드는 주식 하는 법의 핵심입니다.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까?
주식 공부는 '시험'이 아닙니다. 중요한 건 필요할 때 필요한 것만 공부하는 방식입니다. 이것이 바로 실전에 맞는 주식 하는 법입니다.
투자 공부 방법
- 내가 투자한 종목이 왜 오르거나 떨어졌는지 궁금해지면 그때 공부 시작
- ETF, 배당주, 유상증자 등 궁금한 용어가 생길 때마다 개념 정리
- 노트를 만들어 내가 이해한 것을 직접 정리하는 습관
피해야 할 것
- 투자 시작 전에 책부터 사서 독파하려는 시도
- 이론서 여러 권 구입 후 실전에 적용하지 않는 독서
정리하며: 주식은 감정이 아닌 원칙으로 하는 것이다
많은 초보자들이 저가 매수만을 노리며 하락만 기다리지만, 방송에서 제시한 핵심 원칙은 간단합니다.
주식 투자 3대 원칙
- 떨어질 때만 사는 게 아니라, 오를 때도 꾸준히 사야 한다
- 주가는 언제나 변한다. ‘정가’라는 개념은 없다
- 심리와 감정을 억제하고 원칙을 지켜야 수익을 낼 수 있다
초보 투자자라면 ETF 투자로 시작해서 실전 경험을 쌓으며, 나만의 투자 원칙과 감정을 컨트롤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이 바로 그 첫걸음을 내딛을 시기입니다. 주식 아가방에서 제시한 현실적이고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투자 태도야 말로 진짜 주식 하는 법의 시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