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용어 12가지
"ETF는 좋은 건 알겠는데… 용어가 너무 어려워요!"
ETF(상장지수펀드)는 장기 투자, 분산 투자에 매우 유용한 상품입니다.
하지만 처음 접할 때 용어가 생소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오늘은 ETF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용어 12가지를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1. ETF (Exchange Traded Fund)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는 펀드.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된 상품을 하나의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음.
✅ 2. 추종지수 (Index)
ETF가 따라가는 기준 지수. 예: S&P500, KOSPI200, 나스닥100 등 ETF는 이 지수의 수익률을 ‘흉내내는’ 구조입니다.
✅ 3. 시가총액
ETF가 투자하는 기업들의 전체 시장가치 합계. 시총 상위 종목 중심의 ETF는 변동성이 낮고 안정적입니다.
✅ 4. 분배금 (배당금)
ETF가 보유한 자산에서 발생한 이익을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금액. 분기 또는 연 1회 지급되며, 자동 재투자도 가능.
✅ 5. 운용보수 (총보수)
ETF를 운용하는 데 들어가는 연간 수수료. 낮을수록 수익률에 유리. 일반적으로 연 0.05~0.5% 수준.
✅ 6. 거래량 / 유동성
ETF가 하루에 얼마나 활발히 거래되는지를 나타냄. 거래량이 많을수록 사고팔기 쉬움.
✅ 7. 괴리율
ETF의 시장 가격과 실제 자산가치(NAV) 간의 차이. 괴리율이 적을수록 ‘정확한 가격’에 거래된다는 의미.
✅ 8. NAV (순자산가치)
ETF가 보유한 실제 자산의 총 가치. 1주당 가치로 계산됨.
✅ 9. 환노출 / 환헤지
해외 ETF 투자 시 환율 변동 영향을 받는지 여부.
‘환노출’은 환율 영향 있음 / ‘환헤지’는 환율 영향 차단
✅ 10. 레버리지 ETF
기준지수의 수익률을 2배, 3배로 추적하는 ETF. 단기 투자용으로 설계됨. 초보자에겐 위험할 수 있음.
✅ 11. 인버스 ETF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내는 ETF. 시장 하락에 베팅하는 상품이며 단기·전략적 활용에 적합.
✅ 12. 시가배당률
ETF의 가격 대비 배당 수익률. 높을수록 정기 수익에 유리하지만 ETF 구조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
✅ 마무리: 용어를 알면 ETF가 보입니다
ETF는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 용어만 이해하면 매우 효율적인 투자 도구가 됩니다.
오늘 정리한 용어들을 바탕으로
ETF 상품 비교, 투자 전략 수립을 더 쉽게 할 수 있을 거예요.
다음 글에서는
투자 목표 달성률 계산법도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