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식 아가방 15강에서는 주가 4,200을 돌파한 현 시점에서 '주식 하는 법'에 대해 더욱 심화된 내용으로 다뤘습니다. 특히 PER(주가수익비율)와 손익계산서 분석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주식 시장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지금 들어가도 되나?"라는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김어준 공장장과 전문가들은 불안함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그리고 숫자로 읽는 기업 이야기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합니다.
PER과 손익계산서, 주식 하는 법의 핵심
PER은 'Price to Earning Ratio'의 약자로, 한 기업의 시가총액을 그 해의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즉, 이 기업의 현재 주가는 그 수익으로 몇 년을 벌어야 맞춰지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시총이 1조 원이고 순이익이 1,000억 원이면 PER은 10배입니다.
PER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출연자들은 "연"이라는 단어로 설명합니다. PER 10은 '10년치 이익을 미리 반영한 주가'라는 의미입니다.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종목일 가능성이 있고, 높을수록 미래의 성장성을 반영한 고평가일 수 있습니다.
손익계산서는 말 그대로 한 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수익과 지출을 기록한
표입니다. 여기에는 매출,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영업이익, 순이익 등이
포함됩니다. '주식 하는 법'을 배우려면 이 손익계산서의 흐름을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매출, 영업이익, 그리고 순이익의 중요성
손익계산서 상 가장 위에 있는 항목은 매출입니다.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기업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이 매출총이익이고, 여기에 판관비를 제하면 영업이익이 산출됩니다.
김어준 공장장은 "많은 사람들이 매출이 곧 이익이라고 착각하는데, 실제로는 순이익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익이 나지 않으면 장사를 하면 할수록 손해를 보게 됩니다. 그러나 매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면 기업은 버틸 수 있고, 미래 수익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
PER과 PBR을 함께 보는 법
PER과 함께 주식 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PBR(Price to Book Ratio)입니다. 이는 기업의 자산 대비 주가가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출연진은 PER이 낮고 PBR이 높지 않은 종목이 저평가된 종목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합니다.
예시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를 비교했을 때, SK하이닉스는 PER이 낮고 PBR이 높으며, 삼성전자는 그 반대의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SK하이닉스가 향후 더 높은 성장성을 보일 수 있다는 시장의 기대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재무제표 읽기는 기업의 스토리를 읽는 법
이광수 전문가는 재무제표를 통해 한 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엿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애플은 자산은 줄어들었지만, 이익은 증가했습니다. 이는 애플이 공장과 설비에 의존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임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주식 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차트를 보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연습입니다. 손익계산서를 통해 그 기업의 수익 구조와 지속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투자자의 태도, 그리고 20대 남성의 실수
방송 후반부에서는 최근 연령대별 주식 수익률 통계를 통해 가장 수익률이 낮은 집단이 20대 남성이라는 사실을 다룹니다. 이들은 잘못된 정보에 기반해 인버스 ETF에 투자했고, 결과적으로 40~50%의 손실을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주식 시장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투자 판단을 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실제 시장은 상승하고 있으며, 떨어질 것이라는 막연한 예측은 오히려 손실을 부릅니다.
정리하며 –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이번 15강은 숫자를 통해 기업을 보는 법, 즉 '주식 하는 법'의 핵심을 다룬 회차였습니다. PER, PBR, 손익계산서, 재무제표를 제대로 읽는 법을 익히면 누구든지 합리적인 투자 판단이 가능합니다.
주식 아가방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초보 투자자들이 금융 문해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을 주는 콘텐츠입니다. 주식 하는 법을 배우고 싶은 분들이라면 이번 회차를 반드시 반복 시청하며 이해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기업의 현금 흐름표를 분석하는 법, 그리고 이를 투자 판단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