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임드바이오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개발 전문 기업으로, 2025년 11월 공모주 청약을 앞두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계약, 기술특례 상장 A등급, 흑자 실적을 기록한 점에서 투자자들의 기대가 큰 가운데, 상장 후 유통 물량·R&D 리스크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 청약 일정, 공모 구조, 주요 리스크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공모주 청약 및 수요예측 일정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2025년 11월 12일 ~ 11월 18일
- 일반 청약: 2025년 11월 21일 ~ 11월 24일
- 납입일: 2025년 11월 26일
- 상장일: 납입일 후 10영업일 이내 예정
💰 공모 구조 및 가격 정보
- 총 공모주식 수: 6,430,000주
- 희망 공모가 밴드: 9,000원 ~ 11,000원
- 총 공모금액: 약 578억 ~ 707억 원
- 예상 상장 시가총액: 약 5,787억 ~ 7,073억 원
- 주관사: 미래에셋증권 (단독)
- 배정 방식: 100% 일반공모 (균등 50% + 비례 50%)
- 청약 최소 단위: 20주 / 증거금률 50% (최소 약 9만~11만 원 필요)
⚠️ 주요 투자 리스크
1. 기술이전 계약의 해지 가능성
- 기술이전 계약은 임상 중단, 조건 미이행 시 파트너사에 의해 해지 가능
- 선급금은 반환 의무 없음 → 단기 재무 영향은 제한적
- 하지만 향후 로열티 수익 미실현 가능성에 유의
2. 연구개발비 증가 및 임상 리스크
- 임상 진입 시 연간 R&D 비용 132억~240억 원 이상 소요 예상
- 임상 실패, 일정 지연, 규제 변수로 재무 부담 및 사업성 영향 우려
3. 상장 직후 유통 물량과 주가 변동성
- 상장 당일 유통 가능 주식: 전체의 약 24.14%
- 단기 매도세 집중 시 주가 급등락 가능성 존재
- 공모가 밴드는 합리적이나, 상장 후 시장 평가에 따라 고평가 우려도 있음
4. 바이오 업종 내 외부 변수
- 타 바이오 기업의 계약 성공/실패, 글로벌 정책 변화 등 외부 이슈 민감
- 바이오 공모주에 대한 시장 전반의 심리 변화가 투자 성과에 영향
🧾 투자 리스크 요약표
| 리스크 요인 | 설명 및 대응 포인트 |
|---|---|
| 기술이전 계약 해지 가능 | 임상 실패 등으로 계약 해지 가능성 존재. 선급금은 유지되나 장기 수익에 영향 |
| 임상 및 R&D 부담 | 상장 후 연구개발비 급증 예정, 임상 실패 시 손실 위험 |
| 유통물량과 주가 변동 | 상장 당일 유통물량 약 24% → 단기 급등락 가능성 상존 |
| 시장·업종 리스크 | 바이오 업종 특성상 정책·글로벌 이슈에 민감, 투자 심리 따라 급변 가능 |
🔎 투자자 전략 및 결론
에임드바이오는 차별화된 ADC 기술력, 기술특례 A등급, 흑자 실현, 글로벌 계약 이력 등으로 주목받는 바이오 공모주입니다.
다만, 임상 리스크, 유통 물량에 따른 단기 변동성, 업종 특성상 외부 변수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분산투자, 장기 관점, 공모가 대비 유연한 매수 전략을 권고하고 있으며, 상장 후 시장 반응에 따라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Tags:
today_sto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