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밸런싱 후 투자 점검 일지 작성법 – 판단이 아닌 기록이 남는다

리밸런싱 후 투자 점검 일지 작성법 – 판단이 아닌 기록이 남는다

"리밸런싱은 했는데… 왜 이렇게 불안하지?" → 기록이 있어야 판단에 대한 신뢰가 생깁니다.

ETF 투자를 하다 보면 리밸런싱은 했지만, 정작 무엇이 바뀌었는지는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중만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렇게 했는지’를 기록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오늘은 **리밸런싱 직후 작성하면 좋은 투자 점검 일지 구조**를 소개해드릴게요.




✅ 일지 기본 구조

항목 기록 예시
작성일 2025-04-30
리밸런싱 사유 주식형 ETF 비중 과도 (60% → 45%)
매도한 ETF KODEX 미국나스닥100 (일부 익절)
매수한 ETF TIGER 국채10년 / TIGER 리츠
판단 기준 목표 비중 기준 + 시장 변동성 확대
내 감정 상태 약간의 불안, 그러나 계획에 따른 판단
다음 점검일 2025-07-01 (3개월 후)

✔️ “왜”, “어떻게”, “무엇을” 조정했는지를 간단하게 요약하세요.


✅ 기록 주제별 예시 문장

  • 📌 시장 상황: "미국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리스크 자산 비중 조정"
  • 📌 판단 근거: "포트폴리오 수익률이 목표치 대비 +18%로 리밸런싱 조건 충족"
  • 📌 심리 상태: "이익 확정에 대한 아쉬움 있으나, 감정 배제 원칙 유지"
  • 📌 다음 행동: "6월 말 기준으로 리츠 수익률 리뷰 예정"

✅ 기록 도구 추천

  • 📘 노션: 투자 일지 템플릿에 리밸런싱 항목 추가
  • 📊 엑셀/구글 시트: 날짜별 조정 내역 & 평가 수익률 정리
  • 📱 투자 메모앱: 간단하게 음성 또는 키워드로 입력

✔️ 작성 시간은 **10분 이내**, 단순하지만 주기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마무리: 기록이 나를 지켜줍니다

수익률은 시장이 정하지만, 투자 습관은 기록이 만든다는 말이 있습니다.
다음 리밸런싱 때 불안하지 않으려면, 이번 리밸런싱을 기록으로 남겨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감정 흐름에 따른 투자 행동 분석하기도 소개해드릴게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