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뷰홀딩스는 국내 드문 해외 기술기업 KDR 상장 사례로 주목받고 있지만, 청약 전 반드시 살펴봐야 할 핵심은 바로 수요예측 결과입니다. 기관 투자자들이 얼마나 관심을 보였는지, 확약(의무 보유)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상장 직후 주가 방향이 크게 갈릴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수요예측 핵심 포인트와 실전 체크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
📌 1. 수요예측 개요
기관 수요예측 기간: 2025년 11월 13~19일
공모주식 수: 5,000,000주 (전량 KDR 형태의 신주)
희망 공모가: 7,000 ~ 8,000원
상장 주관사: 삼성증권
수요예측 결과 공시: 2025년 11월 23일 예정
📊 2. 수요예측 핵심 체크포인트
| 주요 항목 | 내용 요약 | 전문가 관점 해설 |
|---|---|---|
| 기관 경쟁률 | <공시 전, 11/23 발표> | 1,000:1 이상이면 투자 관심도 높음, 상장 후 주가 상승 모멘텀 기대 |
| 의무보유 확약 비율 | 예상 15~30% | 20% 이상이면 초단기 유통 물량 줄어들어 주가 안정화 가능성↑ |
| 공모가 산정 근거 | 글로벌 peer 비교 (파크시스템스, Teradyne 등) | PER/PSR 기준 20~30% 할인 시 적정, 프리미엄 과도 시 주가 변동성↑ |
| 유통 가능 물량 구조 | 기관 70~75%, 일반청약자 25~30% | 기관 배정 많아 수급 영향력 큼, 확약 턴락(lock-up) 비율 중요 |
| 환매청구권 | 미부여 | 상장 실패 시 투자자 보호장치 없음, 리스크로 고려 |
🔍 3. 전문가 분석 핵심 포인트
✅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확약 비율이 결정적
높은 경쟁률(1,000:1 이상) + 확약비율 20% 이상이면, 상장 직후 강한 수급 모멘텀 형성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수요 부진 시 단기 약세 흐름 우려가 있습니다.
✅ 공모가 밸류에이션 판단 중요
해외 테크 기업(Peer group) 대비 PER, PSR 기준 20~30% 수준의 할인율이면 무난하나, 프리미엄이 과도할 경우 단기 조정 가능성 존재합니다.
✅ 초기 유통물량 구조 확인
의무보유 확약이 적거나 유통 가능 물량이 많을 경우, 오버행(overhang) 리스크로 상장 당일 급등락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 기술 성장 테마 기대감
AI·반도체 검사 장비 수요 확대, 엔비디아 등 글로벌 고객사 이슈에 따라 순환매 흐름으로 단기 반등 가능성도 있습니다.
⚠️ 4. 주요 리스크 요약
- ❗ 수요예측 부진 시 공모가 하회 가능성
- ❗ 기술기업 특성상 프리미엄 과도 시 밸류 부담
- ❗ 환율, 해외 실적 투명성, KDR 구조 등 구조적 리스크 존재
📋 핵심 요약: 수요예측 결과가 모든 것을 좌우
전문가들은 테라뷰홀딩스의 성공 여부가 기관 수요예측 결과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경쟁률, 확약 비율, 공모가 수준, 유통 가능 물량 등 4가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수요예측 결과 공시(11/23) 이후 청약에 참여하는 전략이 합리적입니다.
단기 성과만을 노리기보다는 기술력과 성장성에 대한 중장기 관점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