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환율·반도체·AI 투자 전략

2025년 11월, 주식시장이 큰 조정을 겪으며 투자자들이 불안해하는 가운데, 박시동 경제 평론가는 환율, 반도체, 정부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명확한 투자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2025년 11월 환율 반도체 AI 투자 전략

지금 시장의 조정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정부 정책과 산업 구조의 흐름을 이해하면 오히려 기회가 보입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어떤 종목을 지키고, 어디에 새롭게 투자할지 함께 확인해보세요 👇





2025년 11월 시장 조정, 놀랄 일일까?

최근 며칠간 시장은 빠르게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박시동 평론가는 이것이 너무 빠르게 올랐던 주가에 대한 자연스러운 조정이라고 분석합니다. 2,500선에서 4,200까지 빠르게 오른 만큼, 조정은 언제든 나올 수 있는 구조였습니다.

환율: 단순한 ‘소음’이 아닌 진짜 ‘리스크’

현재 원·달러 환율은 1,450원에 육박하며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박 평론가는 환율이 단순한 변수가 아닌, 시장을 흔들 수 있는 진짜 위험요소로 보고 있습니다.

  • 대외 요인: 유럽의 경제 불안으로 인해 안전자산인 달러 수요가 급증
  • 대내 요인: 국내 투자보다 해외 투자(서학개미 수요)가 많아져 원화가 약세로 흐름

환율에 대한 당국의 개입 의지는 있으나, 강한 달러 흐름과 개인 해외 투자 수요가 지속되면 1,350원이 새로운 기준선처럼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도체: 의심하지 말고 즐기자

박 평론가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은 의심할 필요도 없다"고 단언합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너무 올랐다”고 불안해하지만, 실제 수치를 보면 문제가 없습니다.

  • AI 수요 증가 → 메모리 판매 급증
  • 삼성전자·하이닉스 실적 회복 중
  • 외국계 증권사들도 삼성·SK 실적 예상치 상향

특히 SK하이닉스는 2026년 영업이익 120조 원까지 가능하다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지금은 반도체를 믿고 투자할 시점입니다.

K자형 성장, 반도체만 좋고 나머지는?

수출이 반도체만 잘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지만, 최근에는 선박·컴퓨터·석유화학 등의 섹터도 수출이 회복되고 있습니다.

물론 자동차, 철강은 아직 미국발 관세 영향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한미 협상 타결로 자동차 부품 분야는 조금씩 개선될 전망입니다.

중국·미국 수출 회복 신호

중국은 최근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 신호가 나왔고, 미국 역시 트럼프 리스크 완화로 수출 섹터에 긍정적인 흐름이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박 평론가는 이번 조정 국면에서 기대감만으로 오른 종목은 차익 실현을 고려하고, 실제 실적이 확인된 반도체 같은 주도주는 계속 보유하라고 조언합니다.

또한 바이오·화장품처럼 그동안 소외되었지만 정책 수혜와 실적이 확실한 분야를 새롭게 주목해볼 만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가계 대출 증가, 착시일까? 실체일까?

자산 시장(주식)이 과열이라는 일부 시각에 대해 박 평론가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 글로벌 유동성 장세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 한국은 오히려 뒤늦게 따라잡는 중
  • 정책 신뢰로 인해 저평가를 회복 중

따라서 현재의 상승은 비정상이 아니라, 정상화 과정이라고 강조합니다.

정부 예산: AI와 성장 산업에 집중

2025년 정부 예산안은 728조 원 규모로, AI, R&D, K-컬처, 에너지, SOC 분야에 가장 많은 지원이 집중됐습니다.

박 평론가는 대통령의 시정연설에서 AI가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AI 분야에만 10조 이상 신규 투자"가 예정되어 있다고 전했습니다.

즉, 정부가 돈을 직접 밀어넣는 성장 섹터인 만큼, 관련 기업과 산업은 계속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