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기준, 이차전지(전기차 및 ESS) 관련 산업은 여전히 중장기 성장 테마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등 핵심 소재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와 국산화 흐름 속에서 기술력과 수요처 확장 여부에 따라 주목도가 갈리고 있습니다. 아래는 최근 기사와 리포트 등을 바탕으로 선별한 국내 유망 전지 소재 기업 10선입니다.
✅ 선정 기준 요약
- 📌 전기차 및 ESS 수요 확대, 소재 국산화 흐름
- 📌 기사 및 리포트에서 언급된 주목 종목
- 📌 단기 업황 부진 및 가동률 저하 리스크 존재
📋 유망 종목 10선 및 핵심 포인트
1. 에코프로비엠 (코스닥)
핵심 사업: 하이니켈 양극재 중심 양극활물질
성장 포인트: 차세대 제품 및 고객사 확대에 주력
리스크: 최근 수요 둔화, 가동률 저하, 가격 경쟁 심화
2. 포스코퓨처엠
핵심 사업: 양극재·음극재 동시 생산
성장 포인트: 포스코 그룹과의 원료 연계, 밸류체인 내재화
리스크: 국내 음극재 경쟁 약세, 점유율 확대 과제
3. 엘앤에프
핵심 사업: 양극활물질
성장 포인트: ESS, LFP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
리스크: 소재 가격 변동, 고객 수요 예측 어려움
4. 한솔케미칼
핵심 사업: 이차전지 소재 및 반도체 소재
성장 포인트: 반도체 업황 회복 + 배터리 소재 수요 확대
리스크: 이차전지 사업은 아직 비중 낮음
5. 대주전자재료
핵심 사업: 실리콘 음극재 개발
성장 포인트: 차세대 음극재 시장에서 선점 가능성
리스크: 시장 규모 아직 작고 상용화 단계 불확실
6. 코스모신소재
핵심 사업: 양극활물질, 이형필름 등
성장 포인트: 고부가 소재 개발 및 공급망 다변화
리스크: 경쟁 기업 다수, 제품 차별화 과제
7. KG케미칼
핵심 사업: 양극재 원료 (황산니켈 등)
성장 포인트: 원료 단계 경쟁력 확보 시 수익성 제고
리스크: 원재료 가격·환율·원가 부담
8. 솔루스첨단소재
핵심 사업: 동박 등 이차전지 핵심소재
성장 포인트: 경량화 수요 + 해외 확장 기대
리스크: 중국 업체와의 가격 경쟁 치열
9. 엔켐
핵심 사업: 전해액 및 재활용 소재
성장 포인트: 전해액은 배터리 핵심 부품, 수요 성장 기대
리스크: 경쟁 심화, 원가 상승 부담
10. 에코프로
핵심 사업: 지주사, 전지소재 사업 포함
성장 포인트: 밸류체인 통합, 흑자전환 주목
리스크: 복잡한 사업구조, 실적 회복 속도 불확실
🔍 종목별 추가 고려 요인
- 📉 중국 저가 공세, 미국·유럽 리쇼어링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 🔋 수요 구조 변화: 전기차 → ESS, LFP 중심 확대
- 📊 주요 원자재(리튬·니켈 등) 가격 변동성 경계
- ⚠ 가동률 회복 여부가 단기 실적의 핵심 변수
📌 요약 및 제언
이차전지 소재 산업은 전기차 및 ESS 수요 확대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유망한 분야입니다. 다만 현재 업황은 반등 모멘텀이 부족하고, 원가 부담·가동률 저하 등의 리스크가 혼재돼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AI 및 IT에 관심이 많은 투자자라면, 향후 전고체 배터리·재활용 기술·해외 고객사 수주 등 구체적인 기술 및 실적 발표 중심으로 기업을 선별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