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란? 단리와의 차이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복리란? 단리와의 차이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복리로 돈을 굴리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던데… 도대체 복리가 뭐길래?”

경제 공부를 시작하면 제일 먼저 듣게 되는 말이 바로 ‘복리’입니다.
오늘은 복리의 개념과, 단리와의 차이가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복리를 왜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 단리란?

단리는 말 그대로 이자가 '원금'에만 붙는 구조예요.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 단리로 예금하면,
1년에 5만 원의 이자가 발생하고, 3년이면 총 15만 원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 단리는 매년 똑같은 금액의 이자만 쌓입니다.


✅ 복리란?

복리는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같은 100만 원을 연 5% 복리로 넣으면,

  • 1년 뒤엔 105만 원
  • 2년 뒤엔 110.25만 원
  • 3년 뒤엔 약 115.76만 원
✔️ 시간이 갈수록 이자 금액이 커지는 구조죠!


✅ 단리 vs 복리 비교

기간 단리 복리
1년 105만 원 105만 원
3년 115만 원 115.76만 원
10년 150만 원 약 162.9만 원

복리는 단기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어 보여도,
시간이 길어질수록 차이가 커지는 특징이 있어요.


✅ 복리의 마법, 72의 법칙

‘72의 법칙’은 돈이 두 배가 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간단한 법칙이에요.

72 ÷ 연이율 = 자산이 2배 되는 기간

예를 들어 연 6% 수익률이라면,
72 ÷ 6 = 12년이면 자산이 2배가 됩니다.

복리를 빨리 시작할수록 유리하다는 이유, 이제 이해되시죠?


✅ 마무리

경제를 공부할수록 시간이 돈이라는 말의 진짜 의미가 느껴져요.
복리는 단순한 금융 용어가 아니라, 우리의 삶을 바꾸는 도구가 될 수 있어요.

앞으로도 어렵지 않게 경제 개념을 풀어드릴게요.
한 걸음씩 저와 함께 공부해보시면 어떨까요? 😊

댓글